리눅스에서 다른 서버로 파일 이동 방법 , 보안적용해서 하는 방법 리눅스 서버가 2대 일 때 하나에서 다른 서버로 파일을 이동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root@ccu_oracle ~]# scp --help usage: scp [-1246BCpqrv] [-c cipher] [-F ssh_config] [-i identity_file] [-l limit] [-o ssh_option] [-P port] [-S program] [[user@]host1:]file1 [...] [[user@]host2:]file2 [root@ccu_oracle ~]# 이렇게 scp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가령 A : 192.168.0.192 B : 192.168.0.191 A에서 B로 파일을 이동한다고 했을 때.. 대부분 ss..
리눅스 부팅 후 지난 시간확인 하는 uptime 명령어 아주 간단하네요 옵션도 하나 뿐이고... 그 옵션 마저 그리 필요가 없는 옵션이구 [root@DIM ~]# uptime 19:14:57 up 13 days, 7:32, 1 user, load average: 0.00, 0.00, 0.00 [root@DIM ~]# uptime -V procps version 3.2.7 [root@DIM ~]# [root@DIM ~]# uptime --help usage: uptime [-V] -V display version [root@DIM ~]# man uptime UPTIME(1) Linux User¡¯s Manual UPTIME(1) NAME uptime - Tell how long the system has ..
리눅스에서 디스크 사용량 확인 명령어 df 매뉴얼 df -Th 이렇게들 많이 사용합니다. 이미 익숙한 메가바이트 단위로 나열해주거든요. [root@DIM ~]# df --help Usage: df [OPTION]... [FILE]... Show information about the file system on which each FILE resides, or all file systems by default. Mandatory arguments to long options are mandatory for short options too. -a, --all include dummy file systems -B, --block-size=SIZE use SIZE-byte blocks -h, --human-re..
리눅스 라우팅 정보 확인 netstat -rn 명령어 netstat -rn 이런 형식으로 많이들 사용합니다. 옵션을 변경하면 네트워크에서 어떤 프로토콜이 사용 중인지 알 수 있습니다. [root@DIM ~]# netstat --help usage: netstat [-veenNcCF] [] -r netstat {-V|--version|-h|--help} netstat [-vnNcaeol] [ ...] netstat { [-veenNac] -I[] | [-veenNac] -i | [-cnNe] -M | -s } [delay] -r, --route display routing table -I, --interface=[] display interface table for -i, --interfaces displ..
리눅스 메모리 사용량 확인 명령어 free 매뉴얼 현업에서는 free -m -t 이렇게 많이들 사용합니다. [root@DIM ~]# free --help free: invalid option -- - usage: free [-b|-k|-m|-g] [-l] [-o] [-t] [-s delay] [-c count] [-V] -b,-k,-m,-g show output in bytes, KB, MB, or GB -l show detailed low and high memory statistics -o use old format (no -/+buffers/cache line) -t display total for RAM + swap -s update every [delay] seconds -c update [co..
리눅스를 설치할 때 기본적으로는 계정을 root 계정을 만들죠. 그런데.. 리눅스를 처음 설치하시는 분들은 별도의 자신의 계정을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대부분 자신이 만든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이럴 경우 기본적인 명령어는 먹지만 시스템과 관련된 명령어는 안 먹게됩니다. 즉, ls ls -al 이런 명령어는 먹지만. netconfig ifconfig 이런 명령어는 먹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는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해야합니다. #vash 이런 계정으로 로그인했다면. #vash su -root Password:****** #root 이런 식으로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을 변경하시면 잘 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