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xp를 windows 7 처럼 사용하게하는 테마 및 스킨 요즘 원도우 운영체제의 대새가 windows 7 로 넘어가는 것 같다. 시대에 발 맞추어서 그리고 업무적으로도 windows 7 과 windows server 2008을 메인 피시로 몇 달 간 사용을 해보았다. 하지만, 아직은 불편한 점이 많다. windows server 2008은 말 그래도 서버지 개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 장기간 사용하니 생성한 계정이 꼬이는 것 같다. 아울러 원도우 7도 자신의 입맛에 맞게 변형을 하고 사용하다보면... 어느 순간 설정한 부분들이 원래대로 돌아오기도 한다. 무엇보다. 원격접속이나 백신 그리고 뱅킹 시 아직은 완벽하게 지원이 안되는 것 같다. 물론 설정하는 부분들이 있지만 일일..
원도우 원격접속 프로그램 추천, mstsc-2432 원도우에서 다른 윈도우로 원격으로 접속할려면,, 시작 - 실행 - mstsc 이렇게 치면됩니다. 물론 상대방 컴퓨터가 원격제어가 수락되어 있어야하고 방화벽에서 열려있어야하고... 방화벽 설정에서 모든 대역대에서 접속이 가능해야겠죠. 원격제어를 당하는 컴퓨터는 아이디에 반듯이 비밀번호를 걸어야하고 비밀번호는 8자 이상 해야 해킹의 위험으로 부터 그 나마 안전할 수 있습니다. 그 이하는 해킹 프로그램으로 뚫린다고 하네요. 소개할 프로그램은 같은 원격제어 프로그램이지만 프로파일 즉,,, 상대방 컴퓨터의 아이피, 아이디, 비밀번호 같이 하나의 파일로 저장해서 원클릭으로 바로 접속 가능합니다. 사용해보니 상당히 편리하더군요.
리눅스 fedora13에서 teamviewer 자동시작하기 [root@vash bin]# pwd /opt/teamviewer/teamviewer/5/bin [root@vash bin]# ls killteamviewer teamviewer wrapper xdg-utils-1.0.2 [root@vash bin]# /opt/teamviewer/teamviewer/5/bin/teamviewer 위 경로가 teamviewer 설치된 절대경로입니다. 페도라13은 시작프로그램 등록이 세션에서 하는게 아니라 시작 프로그램이라고 별도로 되어 있더군요 아래 처럼 실행해서 등록하면 됩니다. teamviewer 은 http://teamviewer.com/ko/download/index.aspx 여기서 다운로드 하세요,. ht..
리눅스에서 원도우 원격접속하는 방법 제일 간단한 방법은 teamviewer 를 이용하는 것인데... 그것보다는 tsclient 가 더 좋은 것 같더군요. 아래 처럼 따라하시면 됩니다. #yum -y install tsclient 이렇게 설치하시면 됩니다. 이것 말고도 여러가지가 있다고하는데.... 이게 제일 간단한 것 같네요.
리눅스 fedora13에서 원도우 공유폴더 연결하는 방법 리눅스도 버전이 올라가면서 기존에 텍스트로 작업해야하는 것들이 그래픽 화면에서 거의 대부분 할 수 있게 변하는 것 같네요.. 아래처럼 설정하시면 됩니다.
리눅스 해상도 잡기 , vmware 기준 웹서핑을 통해서 나름 잡았네요.. 아래는 1280x1024 기준의 설정파일입니다 참고하세요. [root@server1 ~]# cat /etc/X11/xorg.conf # Xorg configuration created by system-config-display Section "ServerLayout" Identifier "single head configuration" Screen 0 "Screen0" 0 0 InputDevice "Keyboard0" "CoreKeyboard" InputDevice "XWorkAround" EndSection Section "InputDevice" Identifier "Keyboard0" Driver "kbd" Option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