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에 올블로그의 올블릿 플러그인으로 손쉽게 삽입하는 방법
- Blog
- 2009. 4. 9.

티스토리에 올블로그의 올블릿 플러그인으로 손쉽게 삽입하는 방법
이 방법 자체가 너무나 쉬운 방법이지만 혹시 모르시는 분이 있을까 싶어서 올려봅니다.
일단,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 중이라는 가정하에 시작하겠습니다.
올블로그(새창뜸)에 가입을 합니다.


"내 블로그 관리"에서 블로그를 등록합니다. 이 작업을 구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올블로그에 가입만 되어 있다면 이 작업은 필요없는데...
나중에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내 블로그 관리에서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 시켜주는게 좋습니다.
이제.. 블로그를 등록 시켰다면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로 넘어옵니다.
저는 구형관리자 페이지가 더 편해서 구형을 쓰는데..
구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내 올블릿"을 찾아서 미사용을 사용으로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로그인하라는 페이지가 보입니다.
여기서 올블로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합니다.

<- 클릭하면 크게보입니다.
그러면 이런 화면이 보이는데 여기서 원하는 위치에 노출될 것을 선택하고 적당히 설정을 합니다.

본문하단에 "수익형"으로 픽셀은 597로 주고 색상도 주고,... 이렇게 설정하시고 "설정저장"을 누르시면
블로그에 바로 적용됩니다.
여기서 픽셀 "597"은 자신의 블로그 스킨의 본문의 픽셀을 감안해서 적용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블로그 본문이 600픽셀인데 그것을 감안해서 597을 입력한 것입니다. 잘 모르시겠으면 적용하면서 블로그에 적용된 모습을 보면서 저 숫자를 늘렸다 줄였다 하시면되겠습니다.
아래는 블로그 하단에 실질적으로 적용된 모습을 캡쳐한 것입니다.

이렇게 플러그인을 사용해도 되고... 올블로그 사이트 자체에서 코드를 직접가져와서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allbletID='47877';
var allbletLink='http://'+document.domain+'/1030';
var allbletTags='';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allblet2.allblog.net/allblet2.js"></script>
이런 코드가 될 것입니다. 물론 저기 아이디 숫자는 바뀌겠죠.
이런 코드로 블로그의 원하는 위치에 삽입을 하셔도 됩니다.
차이점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두가지 방식이 장단점이 있는데 그게 애매모호한게...장점이 단점으로
단점이 장점으로도 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방식 장점
1. 본문하단이나 상단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2. RSS 피드에도 노출된다.
플러그인 방식 단점
1. 본문하단이나 본문상단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다른 광고코드 삽입 시 위치의 상,하 적용이 어려움)
2. RSS 피드에도 노출된다.(로딩 속도를 느리게함)
개인적으로는 블로그의 속도를 느리게해서 올블릿은 사용을 안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