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eCRT에서 작업한 내용 자동으로 로그 남기는 방법 이 방법을 사용하면 secureFX를 통한 파일 이동 로그도 자동으로 남는다. 참고로 secureCRT 초기 설치 후 각종 설정들 저장되는 경로가 있는데 반드시 그 경로를 자신이 원하는 다른 곳으로 해서 사용을 해야한다. 그렇지 않다면 보안에 상당히 취약해진다. 목적 : 자신이 작업한 모든 이력을 로그로 남기고 싶을 때 사용 하면 좋다. C:\원하는경로\%S_%Y년%M월%D일%h시%m분%s초.log 원하는경로는 실질적으로 윈도우에서 폴더를 만들어서 저장 할 경로이다. 그 뒤에 매크로 값은 저장 시 파일 이름을 지정하는 것인데... 저렇게 사용하면 무난하다. 하단의 파일 처럼 로그가 자동으로 저장된다. %S는 자신이 수정해논 해당 세션의 이름이다..
secureCRT에서 맑은고딕체 사용해보기..글꼴 폰트 변경방법 ssh 최고의 프로그램은 securecrt 같습니다. putty도 많이 사용하는 듯 하지만... 프로필 저장 확실히되고 자기 입맛에 변경이 가능하기에 아주 좋은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최종 적용된 모습입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http://blog.naver.com/einmong/10018180793 참고로 위 블로그의 글을 참고했습니다. 꼭 방문해서 먼저 읽어보세요. 이 폰트를 먼저 원도우에 설치합니다. 다운로드 후에.. widodws 폴더 밑의 fonts 폴더로 복사합니다. 그런 후에 secureCRT를 실행합니다. 세션 옵션을 선택합니다. 어피어런스를 선택하고 해당 글꼴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개념은 secureCRT의 기본 글..
최고의 ssh 프로그램 VanDyke SecureCRT & SecureFX x64.v6.5.2 첨부한 프로그램은 30일 쉐어웨어입니다. 지금 글을 포스팅 하는 순간에 가장 최신 버전입니다. 32비트, 64비트의 두 종류이며 다시 SecureCRT & SecureFX 연동 버전과 개별 설치 버전입니다. 개별적으로 각각 설치하면 서로 연동이 안됩니다. 연동버전으로 설치하셔야 연동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계정의 정보를 프로필로 저장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항상 아쉬웠던 점이... FTP도 바로 연동되었으면 하는 점이였는데... 무관심했던지.... 기존에 SecureFX라는 SFTP 프로그램이 있었더군요. 최신버전을 찾다보니 알게되었네요 리눅스나 유닉스에 접속할 정보를 프로필로 저장할 때는 경로를..
ssh 로 서버에 접속을 자주하시는 분들은..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대충, 단순한 작업을 할 것인가.. 파일이동을 로컬하드로 할 것인가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주 사용 성격이 달라지는 것 같네요.puttysecureCRTSSH Secure Shell Client이것은 단순한 작업에 많이 사용되고..winscp.exeSSH Secure File Transfer Client이것은 파일 이동에 많이 사용됩니다.이들 프로그램 중에 유일하게 두 가지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는게..SSH Secure Shell Client이 프로그램입니다. 즉, 프로그램이 두개가 설치되는데 프로그램 상에서 아이콘으로 바로연동되는 것이죠..그러나 개인적으로는 secureCRT 를 사용합니다.계정과 비밀번호 까지 저장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