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c-kr을 utf-8로 일괄 변환하는 프로그램, 인코딩변환, Btec (Batch Text Encoding Changer) 요즘 스마트폰으로 소설책을 많이들 보는데 대부분 ecu-kr 로 글들이 작성되어 있다. 문리더나 리디북스는 utf를 기본으로 지원하기에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Btec (Batch Text Encoding Changer)은 대량의 txt 파일 인코딩 변경에 아주 적합하다. 아주 , 잘 사용하고 있으며 오류도 거의 없다. euc-kr 로 된 txt 파일은 잦은 파일 이동이 이루어 지면 인코딩 자체가 깨지는 것을 가끔 발견하게된다. 왠만하면 utf-8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포스트를 추천해 주시면 더욱 많은 분들에게 보여집니다~!
웹호스팅상에 설치하는 웹프로그램들을 이것 저것 보다가보니.. 이쁘고 필요한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euc-kr 로 되어 있더군요. 웹2.0 바람이 불면서 점점 utf-8 로 넘어가는 것 같은데... 이런 상황에서 국내 포탈사이트들은 utf-8을 지원하는지 궁금해지더군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국내 순위안에 드는 포털사이트중에 네이버만 utf-8을 지원하네요. 그런데 네이버도 100%로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메인페이지와 메일페이지는 확실히 지원하는데 다른 페이지들은 아직도 euc-kr 인 것 같네요. 그 외에.. MSN코리아, 구글코리아가 지원하는데.. 이 사이트들이야 글로벌 사이트다보니. 그런 것 같고... 그리고 흔히들 웹2.0을 내새우는 사이트들도 지원을 하네요.. 티스토리나 오픈베이 등등... U..
설치형 게시판들 중에 제일 유명한게 제로보드죠... 그누보드는 게시판 하단에 라이센스가 없는게 장점이기도하구요. 울트라보드, 세팔보드, 제로보드, 그누보드 등등 많은 게시판이 있습니다. 그런데... UTF-8 을 지원하는 웹계정들이 많아지면서... 제로보드4버전은 실질적으로 utf-8 버전에서는 잘 안돌아가더군요. 제로보드XE는 너무 무거운거 같기도하구요.. 그누보드는.. 좋긴한데.. 연관된 스킨들을 외부로 따로 링크를 할려고하면 인클루드 된 부분들을 많이 손봐야하기에.. 그것도 불편하구요. 개인적으로는 제로보드4가 제일 좋은 것 같은데... UTF-8 을 지원을 안하니... 아쉽네요. 제로보드닷컴에는 UTF-8 지원 버전이 올라와 있지만.. 실질적으로 설치해보니.. 한글이 깨져보이고.. 잘 작동을 안하..
요즘은 웹서버들인 UTF-8을 많이 지원합니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웹프로그램들은 euc-kr 로 제작된 게 많아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 프로그램은 일괄적으로 해당 파일을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유용하게 사용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