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맑은고딕체가 맘에 들어서 기본설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운영체제를 포멧하고 다시 설치하니.. 맑은 고딕체가 모서리 부분이 이상하게 보이더군요. 이렇게 끝부분이 이상하게 보여서 선명하지가 않더군요. 컴퓨터나 그래픽 문제인줄 알았는데... 그것이 아니였습니다. 클리어타입글꼴 문제더군요. 클리어타입글꼴 설명 http://en.wikipedia.org/wiki/ClearType http://ko.wikipedia.org/wiki/%ED%81%B4%EB%A6%AC%EC%96%B4%ED%83%80%EC%9E%85 클리어타입(ClearType)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의 글꼴 렌더링 기술로서, 문자열의 모양을 컴퓨터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정한 방식으로 개선해 준다. 특히, 평판 패널 모니터에서 효..
리눅스 텍스트모드로 부팅 # vi /etc/inittab id:5:~ 이런 부분의 5를 3으로 변경 후 저장 리부팅하면 정상적으로 텍스트 모드로 부팅함 리눅스 IP확인 # /sbin/ifconfig , ifconfig 리눅스 IP변경 # netconfig 라는 명령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 vi /etc/hosts 이더넷카드의 아이피를 변경하려면 # netconfig --device=eth0 첫번째 # netconfig --device=eth1 두번째 이렇게 설정하면 설정이 저장되는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입니다. 이 파일의 설정을 직접 변경하셔도 됩니다. 설정후 적용하는 방법은 service network restart 만약에 IP Addr..
먼저, 배포 소프트웨어의 위치 배포 소프트웨어(MSI)파일을 반드시 네트워크에 공유된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즉, 공유 폴더를 만들어서 파일을 위치 시키고 GPO에서 설정시에는 UNC 경로 (예, \\서버명 또는 IP\공유폴더명)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다음, 실행 권한 부족 오류 소프트웨어를 정상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PC의 관리자 권한을 가져야 합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Administrators의 그룹에 Domain Users를 추가해 주세요. 다음, EXE 파일을 배포 및 설치 MSI를 제외한 파일의 설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공유 폴더의 원격 파일을 실행하거나,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 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컴퓨터 정책 또는 사용자 정책에 설정하시면 됩니다.
이 책은... 한쪽은 한글로 한 쪽은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레벨이 높아서 영어 부분은 해석이 거의 안되더라구요. 일반적으로 아는 단어들이 나오지 않는 것이.. 그래서 한글만 읽고 말았다는... 나중에 시간이 되면.. 영어 부분도 다시 한 번 봐야겠습니다. 책 구성은 잘 되어 있는데.... 한영을 번갈아가면서 볼려니..... 한글을 먼저 보고 영어 부분을 보니 어느 정도 대충 해석은 되더군요,. 셜록 홈즈 선집 영한대역판 - 강석주 엮음/시공아카데미
영어 회화를 해보겠단 마음에... 이리 저리 수소문하여 강남의 영어학원 아닌 학원에 등록을 하고... 일주일에 3번 정도 한달 간을 아래의 책으로 공부를 하였습니다. 교제는 잘 되어 있습니다. 컽으로 보기에는 원서같지만 아닙니다. 안에 CD로 발음까지 있어서 아주 쉽습니다. 초보자가 하기에는 그만인 것 같습니다. 처음 mp3로 대화 내용을 들으면 거의 들릴 정도니까요. 이렇게 저렇게 거의 한 달을 다녀보니... 조금은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독학을 하겠다고 맘 먹고 그만 다녔는데.. 돌이켜보니.. 실수한 것 같습니다. 사람이 게으른지라... 잘 안되네요.. 독학이... English Communication 1 - 다락원 편집부 엮음/다락원
디지털 시대로 빠르게 변하는 세상이지만.. 옛것에도 좋은 점들이 많으니.. 예전에 한 번 읽은 기억이 나는데.. 다시 관심이 가서 하나 샀다. 음... 공자라는 사람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되는 책입니다. 그도 사람인지라.. 게으른 면도 있고. 그렇더군요. 왜 성인으로 추앙 받는지 모를 일이네요. 죽음에 대해서만은 명확하게 결론을 못 내리는 공자 같습니다. 사후세계에 대해서 과연 알기에 그런 모호한 말을 했는지... 표면적으로는 공자가 유교에서 가장 유명하지만... 오히려 공자의 제자 중에 더 뛰어난 인물들이 많았더군요. 논어 - 공자 지음, 김형찬 옮김/홍익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