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간단합니다. :: 블로그 skin.html 페이지 상단 부분에 보면 바로 위의 코드를 위에 것 처럼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즉, 순서를 앞 뒤로 변경한 것이지요.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왠지 저 형태가 검색엔진이 더 좋아 할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한국의 국가도메인은 kr 입니다. 그럼 다른 나라 도메인은 어떤 도메인들이 있을까요? 아래에 리스트들을 참고하세요. 도메인에는 여러 가지 레벨이 있는데 .com , .net , .org 등은 탑레벨 도메인에 속합니다. 요즘 여러가지 도메인 확장자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데.. 이렇게 우후죽순으로 도메인들이 많이 생겨날 수록 .com 도메인의 가치가 점점 높아질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다른 목적( 무료도메인, 트래픽 간접훔치기 등등)으로 도메인을 등록할 게 아니라면.. 실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면 .com 으로 도메인을 등록하길 권장합니다. 하지만 닷컴 도메인들은 이미 사용자가 많아서 좋은 이름들이 남아있지 않죠... 낙장도메인들도 도메인 헌터 사이트들에서 대량으로 등록해버리니.... 그래도 잘 ..
순서 1. 알툴즈의 알툴바를 설치하고 알툴바의 즐겨찾기로 모든 즐겨찾기를 백업한다. 2. 인터넷 익스플로워의 모든 즐겨찾기를 삭제한다. 3. 알툴바의 즐겨찾기를 인터넷익스플로워의 즐겨찾기로 내보낸다. 4. 인터넷 익스플로워의 즐겨찾기를 내보내기를 통하여 백업한다. 5. 백업한 즐겨찾기를 한RSS의 즐겨찾기로 가져온다. 목적 업무나 기타 이유로 다른 사람이나 다른 곳의 컴퓨터 이용 시 자신의 즐겨찾기를 언제 어디서나 이용하기 위해서( 알툴바를 설치하면 되지만...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서) 인터넷 써핑을 하다가 보면 정말 좋은 글들이 있거나 좋은 사이트가 있으면 즐겨찾기 또는 북마크 기능을 통해서 저장을 하죠.. 가장 좋은 방법은 네이트 통클리퍼로 글을 아예 비공개로 저장해버리는게 제일 좋겠죠. 그게 여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답글이나 트래백을 RSS로 받아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이것을 쉽게 받아보면 흔히들 말하는 소통에 좀 더 근접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티스토리는 모르겠지만... 텍스트큐브는 이런 기능을 지원하네요. 현재 제가 사용하는 텍스트큐브의 버전은 입니다. Textcube 1.7.7 : Beta 2 기본 적으로 텍스트큐의 트래백, 답글의 RSS 의 경로는 http://도메인.com/rss/response 이것이 텍스트큐브닷컴의 답글, 트래백 RSS 주소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RSS 리더로 텍스트큐브의 관리자 페이지에 있는. RSS 바깥 글 읽기를 사용합니다. 장기적으로는 한RSS 같은 큰 사이트를 이용하는 게 좋을 것 같네요. 이런 식으로 관리를 하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