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마일 인코더라는 프로그램은... 한 마디로.. 700mb 의 .avi 파일을 200mb 의 .mp4 , .skm 등의 파일로 인코딩을 변환 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이 아주 편리합니다. 프리셋을 통해서 손쉽게 자신에게 맞는 기기로 바로 인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소개할 버전입니다. 다운로드받기 프로그램 버전: 1.9.2.1 제작자 홈페이지 http://umile.kr http://umile.kr/encoder/download.php?sVersion=1.9.2.1 http://file.naver.com/pc/view.html?fnum=202871&cat=40 UmileEncoder_1_9_2_1.a00 UmileEncoder_1_9_2_1.alz 사용방법 http://umile.kr/encoder/?idx..
이미 많은 분들이 애드찜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http://adzzim.com/여기는 문자를 이용한 제휴마케팅 사이트입니다. 전에는 자신의 블로그에 코드를 삽입하고 문자 발송 당 수익이 발생하면 그 수익을 블로거에게 제공하는 방식이였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블로그에서 자신이 문자를 보내는 것에 대한 제한이 있었는데... 이제는 방식이 배너 클릭당으로 바뀌어서 이제는 문자발송에 대한 제한이 없어졌습니다. 애드찜의 문자발송이 좋은 이유는... 이런 무료문자 발송사이트는 찾아보면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무료로 제공하는 대신 대부분 문자에 광고멘트가 들어가는데 애드찜에는 그런 것이 없어서 좋네요. 네이트온 무료문자를 다 사용하였다면 그 이후에 애드찜을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블로그에 설치해 놓으면..
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많으실 것 같네요. 이 서비스의 핵심은 무료로 무제한 트래픽으로 이미지나 사진을 외부에 링크를 걸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일반인들은 거의 사용 할 일이 없겠죠??? 하지만, 오픈마켓 같은 곳에서는 아주 유용할 것 같네요. 하지만.. 엄연히 말해서는 무제한이 아닙니다. 아래 표에서 보듯이.. 일반 무료 사용자는 제한이 있네요. 하드디스크 50메가에... 링크기한 7일... 링크기간7일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 빈도가 떨어질 것 같네요. 아마도 오픈마켓을 타켓으로 서비스를 출시했나 봅니다. 무료계정을 주는 곳들도 많지만 그런 곳들도 트래픽 제한이 있으니... 그러고 보면 예전의 포탈사이트의 무료계정들은 트래픽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없었던 것 같네요. 컴네커도 트래픽 일일 200메..
그리 특별한 기능은 아닌 것 같네요. 요즈음 이런 서비스들이 많으니까요. 이 서비스를 완벽하게 이용하실려면 야후메신저와 함께 사용하셔야 할 것 같네요. 야후핑박스로 먼저 이동을 합니다. 물론 야후 계정이 있어야겠죠. 그런 후 설명에 따라서 소스를 만드시면 됩니다. 소스 사이즈 변경도 가능하네요. 이런 소스 코드를 제공합니다. 아래는 위 코드를 적용해본 모습입니다. 아래는 관련 사이트 순서대로 캡쳐해본 모습입니다.
애드센스에 가입을 했는데 실명과 이름이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수표를 환전 할 때 굉장히 중요합니다. 가령, 홍길동이란 실명을 쓰는 사람이 있다고하면... Hong Gil Dong Gil Dong Hong Hong gildong gildong hong 이런 이름들은 은행의 환전 담당자에게 문제를 거의 삼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한국은 홍길동 이렇게 성이 먼저 나오지만 외국 사람들은 길동홍 이렇게 이름을 먼저 쓰기에 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홍길동 dong gil hong 이렇게 되어 있다면 은행에서 거부를 합니다. 실질적으로 경험상 애드센스 가입 시 나름대로 정확하게 입력을 했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계정 정보를 보니 저렇게되어 있더라구요. 이럴 경우 예전에는 직접 담..
구글 애드센스를 처음 설치 하거나.. 글 중에 영어가 많이 들어가 있으면 순간적으로 광고가 영어로 노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강제적으로 한국어로 나오게하는 방법입니다. 간단합니다. 아래의 코드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google_language = "ko"; 예) 그러나 이 방법은 그리 권장하지 않습니다. 실질적으로 블로그에 외국인이나.. 한국어를 사용하는 교포들도 방문을 하니까요. 블로그에 플래그카운터를 달아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